View Categories

기타

12 Docs

스콧 커피 연구소(Scott Agricultural Laboratories)

Last Updated: 2025년 03월 03일

현재는 이름이 바뀌어 “National Agricultural Laboratories“가 되었다. 스콧연구소는 영국이 케냐를 식민지배하고 있을 때 설립되었다. 1차 세계대전 때, 병원으로 사용하던 건물이었다. 1922년, 케냐의 농림부처가 병원 건물을 인수했고, 병원 의사였던 “Henry Scott”의 이름을 따서, “Scott Agricultural Laboratories”라는 이름을 지었다. 스캇연구소는 정부 대신 케냐 커피 농부들에게 농업 교육을 실시했다. 스캇연구소는 세균전문가, 곤충학자, 식물학자 등을 고용하여 그 연구 수준을...

카스티요(Castillo)

Last Updated: 2025년 02월 25일

카스티요. 까스티죠. 1. 개요 콜롬비아종(Variedad Colombia)과 함께 카스티요는 콜롬비아에서 개발한 카티모르 (Catimor) 중 하나이다. 스페인어 발음으로는 [까스띠요]이지만, 콜롬비아식 스페인어 발음으로는 [까스띠죠]라고 한다. 커피 녹병에 대한 저항력이 있다. 특히, 카스티요는 커피베리병에도 강하다. 생산성이 뛰어나고, 향미 품질도 좋은 편이라는 평가가 있다. 모두 콜롬비아에서만 재배되고 있고, 콜롬비아 내에서도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다. 2. 역사 콜롬비아 품종(Variedad Colombia)과 카스티요(Castillo)는 카티모르(Catimor)계열이다. 중앙...

커피 베리 보러(Coffee Berry Borer)

Last Updated: 2025년 02월 25일

커피 베리 보러는 대표적인 커피 해충이다. 커피베리보러의 피해는 기온의 상승과 비례한다. 커피베리보러는 따뜻한 지역에 서식하며, 일교차가 그리 크지 않은 중간 고도(1,000m ~ 1,500m) 사이에서 주로 활동한다. 커피베리보러는 2018년 기준으로 연간 500만 달러 이상의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커피 베리 보러는 커피 열매에 침입한 뒤, 커피 씨앗을 파고든다. 파고든 씨앗 안에 알을 낳는다.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는...

커피 녹병(Coffee Leaf Rust)

Last Updated: 2025년 02월 25일

개요 커피녹병(Coffee Leaf Rust)은 헤밀레이아 바스타트릭스(Hemileia castatrix)라 불리는 곰팡이균이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커피와는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을 일으킨다. 하지만, 곰팡이균은 바람을 타고 이동하기 때문에 전염성이 아주 높다. 현재 병든 나무를 치료하는 기술은 개발되어있지 않으며, 병든 나무는 발견 즉시 불에 태워 없애고 있다. 하지만, 일단 녹병이 발견되면, 주변 나무 역시 전염되었을 확률이 높고, 해당 농가는 한...

무산소 발효(Anaerobic Fermentation)

Last Updated: 2025년 02월 24일

1. 개요 발음은 [에-네로빅]이다. 국제 음성 기호로 [ænəˈɹoʊbik](에너로우빅)이다. [아나에어로빅], [언에어로빅] 은 없는 말이다. 모르는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이제라도 알았으면 바꿔서 부르자. ‘Bourbon’을 [버번], [부르봉], [부르본]으로 다양하게 부르는 것과는 다른 문제이다(각각, 영어, 불어, 스페인어). 잘못된 발음이 아니라, 서로 다른 언어로 부른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나에어로빅], [언에어로빅]은 없는 말이다. 그나마 비슷한 발음이 스페인어이긴 한데, 스페인어로 ‘무산소’는...

커피 발효

Last Updated: 2025년 02월 24일

1. 개요 커피에서 발효(Fermentation) 를 하는 이유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커피를 먹기 위해서”이고, 두 번째는 커피를 “맛있게 먹기 위해서” 이다. 우리는 커피 열매를 먹는 것이 아니라, 커피 열매의 씨앗을 볶아 먹는 것이다. 그리고 이 씨앗은 껍질-과육-점액질-파치먼트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다. 이 중, 껍질과 과육은 분리하기 쉽지만, 점액질과 파치먼트는 벗겨내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발효(Fermentation)

Last Updated: 2025년 02월 24일

1. 개요 발효와 부패는 모두 미생물이 관여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하지만, 명확하게 구분할 과학적 기준은 없다. 발효는 긍정적인 표현이고, 부패는 부정적인 표현이다. 관능적인 기준으로는, 발효는 인간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이고, 부패는 인간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다. 청국장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청국장은 발효식품이고, 청국장 냄새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청국장은 부패식품인 셈이다. 숙성은 발효와는 조금 다른 개념이다. 「식품과학기술대사전」에 따르면, 숙성의 정의는...

커피 열매 수확 방법

Last Updated: 2025년 02월 24일

열매 수확은 커피 가공의 첫 단추라고 볼 수 있다. 수확 방식에 따라 노동력과 비용이 천차만별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잘 익은 커피 체리만을 골라내는 것인데, 현재 기술로는 사람이 하나씩 따는 방법 밖에 없다. 고가로 거래되는 커피들은 대부분 손으로 따는 방법이 사용된다. 커피 체리를 수확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사람이 직접 따는 경우와 기계를...

커피 생두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Last Updated: 2025년 02월 24일

다음은 커피 생두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있을 수 있다.

확산 (diffusion)

Last Updated: 2025년 02월 18일

확산은 물질이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이 때 에너지는 소모하지 않고 용질이 스스로 이동한다. 용매는 녹이는 물질(물)이고, 용질은 녹는 물질(커피 성분)이다. 삼투 현상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삼투 현상은 용매(물)이 이동하는 현상이고, 확산은 용질(커피 성분)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사이징, sizing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사이징이란, 종이의 표면에 특수 처리를 하여 수분, 기름, 기타 액체의 침투를 조절하는 과정이다. 커피 필터 처럼 투수성이 중요한 종이는 적절한 사이징 처리를 통해 물이 일정하게 흡수되면서도 구조가 무너지지 않도록 설계된다. 1. 사이징의 목적 1.1 투수성(permeability) 조절 물이 너무 빠르게 흐르면 커피 추출이 균일하지 않고, 너무 느리면 과추출될 수 있다. 사이징 처리를 통해 필요한 만큼만 물을...

라이오셀, Lyocell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라이오셀(lyocell)은 자연에서 유래한 친환경 섬유로, 주로 목재 펄프로 만들어진다. 텐셀이라는 브랜드가 대표적이며 기존의 종이 및 코튼 소재와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매끄럽고 부드러워서 피부에 자극이 좋다는 특징 덕분에 옷 제작에도 활용된다. 정전기 발생이 적고 박테리아를 억제하는 성질이 있어 위생적인 섬유로 평가받는다. 라이오셀이 각광받는 대표적인 이유는 친환경적인 섬유이기 때문인데,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를 99% 이상 재활용할 수...

쇼핑 카트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