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Categories

커피 품종

25 Docs

루이루11(Ruiru11)

Last Updated: 2025년 03월 03일

요약 커피베리병에 강한 품종을 얻기위해 케냐에서 개발되었다. 수많은 품종들이 교잡되었다. 커피베리병을 비롯한 병충해에 강하다. 키가 작고, 생산성이 높습니다. Ruiru11의 본래 향미는 좋다고 한다. 하지만, 농부들의 재배 기술 부족과, 계속되는 흉작으로인해 그 향미 특징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역사 1968년, 커피베리병(Coffee Berry Disease,CBD)가 케냐 전역에 퍼졌다. 커피베리병으로, 케냐 커피 생산량은 50% 이상 감소했다. 이 끔찍한 사건 때문에,...

SL28, SL34

Last Updated: 2025년 03월 03일

개요 케냐의 스콧 커피 연구소(Scott Agricultural Laboratories)에서 개발된 품종이다. SL14와 SL28은 가뭄에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SL28과 SL34은 향미 품질이 아주 뛰어나고 알려져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병충해에 아주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가뭄에 강하다는 특징 덕분에 케냐와 우간다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가뭄에 치명적인 국가들에게 SL품종들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역사 SL품종들은 아프리카에서 주로 발견할수 있다. 케냐에서 시작되었다....

스콧 커피 연구소(Scott Agricultural Laboratories)

Last Updated: 2025년 03월 03일

현재는 이름이 바뀌어 “National Agricultural Laboratories“가 되었다. 스콧연구소는 영국이 케냐를 식민지배하고 있을 때 설립되었다. 1차 세계대전 때, 병원으로 사용하던 건물이었다. 1922년, 케냐의 농림부처가 병원 건물을 인수했고, 병원 의사였던 “Henry Scott”의 이름을 따서, “Scott Agricultural Laboratories”라는 이름을 지었다. 스캇연구소는 정부 대신 케냐 커피 농부들에게 농업 교육을 실시했다. 스캇연구소는 세균전문가, 곤충학자, 식물학자 등을 고용하여 그 연구 수준을...

카스티요(Castillo)

Last Updated: 2025년 02월 25일

카스티요. 까스티죠. 1. 개요 콜롬비아종(Variedad Colombia)과 함께 카스티요는 콜롬비아에서 개발한 카티모르 (Catimor) 중 하나이다. 스페인어 발음으로는 [까스띠요]이지만, 콜롬비아식 스페인어 발음으로는 [까스띠죠]라고 한다. 커피 녹병에 대한 저항력이 있다. 특히, 카스티요는 커피베리병에도 강하다. 생산성이 뛰어나고, 향미 품질도 좋은 편이라는 평가가 있다. 모두 콜롬비아에서만 재배되고 있고, 콜롬비아 내에서도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다. 2. 역사 콜롬비아 품종(Variedad Colombia)과 카스티요(Castillo)는 카티모르(Catimor)계열이다. 중앙...

커피 베리 보러(Coffee Berry Borer)

Last Updated: 2025년 02월 25일

커피 베리 보러는 대표적인 커피 해충이다. 커피베리보러의 피해는 기온의 상승과 비례한다. 커피베리보러는 따뜻한 지역에 서식하며, 일교차가 그리 크지 않은 중간 고도(1,000m ~ 1,500m) 사이에서 주로 활동한다. 커피베리보러는 2018년 기준으로 연간 500만 달러 이상의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커피 베리 보러는 커피 열매에 침입한 뒤, 커피 씨앗을 파고든다. 파고든 씨앗 안에 알을 낳는다.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는...

커피 녹병(Coffee Leaf Rust)

Last Updated: 2025년 02월 25일

개요 커피녹병(Coffee Leaf Rust)은 헤밀레이아 바스타트릭스(Hemileia castatrix)라 불리는 곰팡이균이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커피와는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을 일으킨다. 하지만, 곰팡이균은 바람을 타고 이동하기 때문에 전염성이 아주 높다. 현재 병든 나무를 치료하는 기술은 개발되어있지 않으며, 병든 나무는 발견 즉시 불에 태워 없애고 있다. 하지만, 일단 녹병이 발견되면, 주변 나무 역시 전염되었을 확률이 높고, 해당 농가는 한...

사치모르(Sarchimor)

Last Updated: 2025년 02월 25일

1. 개요 티모르 하이브리드 (timor hybrid)와 빌라 사치 (Villa Sarchi)의 교배종이다. 중앙 아메리카 국가 위주로 재배하고 있다. 그리고 각 국가마다 각각의 사치 모르가 존재한다. 카티모르 (Catimor)와 마찬가지로, 포르투갈 커피 연구소에서 먼저 개발되었습니다. 남미를 거쳐서 중미에 도착한 뒤, 각 나라에 맞는 사치모르를 선별했다. 공통적으로, 생산성이 좋으며 맛 또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녹병에 강한 것은 기본이며,...

빌라 사치 (Villa Sarchi)

Last Updated: 2025년 02월 15일

빌라 사치, 비야 사르치, Villa Sarchi. 1. 역사 카투라 (caturra), 파카스 (pacas)와 마찬가지로, 버번, bourbon 의 자연 돌연변이종이다. 1950년대 ~ 1960년대에 코스타리카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카투라, 파카스처럼 키가 작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1974년, 온두라스에 소개된 적이 있으나, 사실 상, 코스타리카 외에는 재배하는 곳이 드물다. 1970년대에, 중남미 지역의 커피 생산국들은 커피 녹병에 대한 두려움과 걱정을 갖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파카스(pacas)

Last Updated: 2025년 02월 25일

1. 역사 카투라 (caturra)와 마찬가지로 버번, bourbon의 자연 돌연변이종이다. 1949년, 엘살바도르의 파카스 가족의 농장에서 처음 발견되어, 그 이름을 파카스라고 지었다. 재밌는 것은, 파카스 외에 빌라 사치라는 또 다른 버번의 자연 돌연변이 종이 있다는 것이다. 빌라 사치는 코스타리카에서 발견되었다. 즉, 브라질에서 발견한 것이 카투라, 코스타리카에서 발견한 것은 빌라 사치, 엘살바도르에서 발견한 것이 파카스인 것이다. 1960년에, 엘살바도르...

커피 품종의 유형

Last Updated: 2025년 02월 15일

개요 월드 커피 리서치(World Coffee Research)는 커피 품종의 유형을 다음의 4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1. 에티오피아 원종 흔히 볼 수 있는 단어, “Heirloom”과 비슷한 의미이다. 에티오피아에 토착화되어, 자연환경에 적응한 품종이다. 오랜 기간 동안 에티오피아에 적응해왔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 옮겨심는 것이 쉽지 않다. 대부분의 원시품종(Landrace)들은 에티오피아 산림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원시품종은 ‘아라비카 품종(C.Arabica)’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 순수한...

F1 하이브리드 (f1 hybrid)

Last Updated: 2025년 02월 15일

개요 하이브리드(Hybrid)란, 서로 다른 종(또는 계통) 사이의 교배를 통해 얻은 자손을 의미한다. 부모세대로부터 얻은 첫 번째 자손을 ‘잡종 1세대’라고 부르며, ‘F1’이라는 약자를 사용한다.(F1 : The First Filial Generation) 1. F1(잡종 1세대)의 장점 멘델(Mendel)의 분리의 법칙(Segregation)에 의해, 잡종 2세대에서는 원하지 않던 열성 형질이 나타난다. 하지만, 잡종 1세대는 부모의 우성형질만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현대의 농산물들 중에는 잡종1세대가...

게이샤 (Geisha)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게샤, 게이샤, Gesha, Geisha. 일반적으로 게이샤라고 말하면, 파나마 게이샤를 말한다. 에티오피아 게이샤도 존재하지만, 에티오피아의 게샤 빌리지(Gesha Villiage)를 제외하면, “진짜” 게이샤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1. 역사 파나마 게이샤의 원산지가 에티오피아라는 것은 유명한 이야기이다. 1930년대에 에티오피아 숲에서 발견된 게이샤는 탄자니아를 거쳐, 코스타리카에 있는 CATIE로 전해진다. CATIE는 이 품종에 등록번호 “T2722″를 부여한다. CATIE는 T2722종이 커피 녹병에 어느...

이카페 90 (ihcafe 90)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Catimor T-5175 문서 참조.

렘피라 (lempira)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Catimor T-5175 문서 참조.

Catimor T-5175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1. 역사 코스타리카 커피 연구소(ICAFE)에 의해 선별·개발된 품종이다. 코스타리카에 위치한 열대농업연구교육기관(CATIE)은 1970년대에 브라질로부터 카티모르 품종을 받게 된다. 받을 당시 등록명칭은 ‘H26’이었으며, 이미 브라질에 의해 우선 선별된 잡종3세대(F3)였다. 코스타리카는 이 품종을 ‘T-5175’라고 부르기로 했다. 이후, 온두라스는 ‘T-5175’를 다시 집단 선별하여 ‘Lempira’와 ‘IHCAFE 90’을 개발해낸다. 2. 일반적인 특징 하지만, ICAFE는 Catimor T-5175를 공식적으로 보급하지 않았다. 순수한 Catimor...

카티스틱 (catistic)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카티모르 T-8667 문서 참조.

Ozo Aztec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카티모르 T-8667 문서 참조.

코스타리카 95 (costa Rica 95)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카티모르 T-8667 문서 참조.

카티모르 T-8667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1. 역사 Catimor T-8667은 티모르 하이브리드 (timor hybrid) 832/1 과 카투라 (caturra)의 교배종이다. 중앙 아메리카로 커피녹병이 퍼져나가기 시작했을 때, 커피녹병에 대응하기 위해 카티모르가 중미 국가로 보급되었다. 코스타리카에 위치한 열대농업연구교육기관(CATIE) 역시, 브라질로부터 ‘H26’이라 불리는 카티모르를 받았다. 해당 품종은 이미 브라질에서 선별된 품종이었으며, 잡종5세대 상태였습니다. 코스타리카는 이 품종에 ‘T-8667’이라는 등록명을 부여하고 농부들에게 보급했다. 이후, 1980년대 후반에 코스타리카는...

카티모르 (Catimor)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카티모르, 까띠모르, Catimor. 티모르 하이브리드 (timor hybrid)와 카투라 (caturra) 의 교배종이다. 커피녹병에 강하고, 생산성이 뛰어나다. 저지대에서도 잘 자란다는 특징이 있어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중미국가들도 녹병피해를 받은 적이 있기 때문에 카티모르종을 개발하여 재배하고 있다. 비료가 많이 들고, 수명이 짧으며, 향미 품질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다. 1. 역사 카티모르는 티모르 하이브리드 (timor hybrid)와 카투라 (caturra)의 교배종이며,...

티모르 하이브리드 (timor hybrid)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티모르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 티모르, Timor Hybird, Hibrid de Timor. 1. 역사 1920년대에, 동티모르(East Timor) 섬에서 발견되었다. 아바리카종(C.arabica)과  카네포라종(C.canephora)의 자연 교배종이다. 정상적인 경우, 아라비카종과 카네포라종은 교잡이 불가능하다. 아라비카종의 염색체는 44쌍이고 카네포라종의 염색체는 22쌍으로, 염색체 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티피카,typica 가 동티모르에서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1917년이다. 그리고 첫 티모르-하이브리드는 1927년에 발견되었다. 본격적으로 재배된 것은 1940년대부터이며, 1956년부터 새로운 티모르-하이브리드를 개발하기 위한...

문도 노보, Mundo Novo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1. 역사 문도 노보는 버번과 티피카의 자연 교배종이다. 처음 발견된 문도 노보는 티피카 중에서도 수마트라, 버번 중에서도 레드 버번의 자연 교배종이라고 알려져있다. 1943년, 브라질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쌍파울로의 지자체 Urupês에 심어졌다. 이 곳에서 선별된 품종이 문도 노보이다. Urupês의 옛 이름은 노보 문도이고, 문도 노보의 이름은 여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노보 문도(Novo Mundo)는 포르투칼어로 ‘신세계’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데, 이런 의미에서...

카투라 (caturra)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카투라, 까뚜라, Caturra. 남아메리카에는 과라니(Guarani)라는 민족이 살고 있다. 과라니 말로, ‘Caturra’는 ‘작다(Small)’을 의미한다. ‘카투라’라는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1.카투라의 역사 1.1 발견 카투라는 버번, bourbon 의 자연 돌연변이종이다. 20세기 초, 브라질 미나스 제라이스(Minas Gerais)의 대규모 농원에서 발견되었다. 첫 발견 이후에, 브라질 연구기관(IAC)은 다른 형태의 카투라들을 만들기 시작했다. 당시 브라질이 카투라에 관심을 보인 이유는, 카투라의 키가 작았기 때문이다. 브라질은 커피를...

버번(bourbon)

Last Updated: 2025년 02월 25일

1. 버번의 역사 에티오피아에서 예맨으로 이동한 커피는, 프랑스 선교사들에 의해 부르봉 섬(Bourbon Island)에 도달한다. 프랑스 선교사들은 세 차례에 걸쳐 커피를 옮겨 심었는데, 그 중 일부가 적응에 성공했다. 그리고 그 커피의 이름을 버번(또는 부르봉)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티피카,typica 와는 다르게 19세기 중반까지는 외부로 반출되지 않았다. 19세기 중반이 되어서야 비로소 프랑스 선교사들은 아프리카 국가들에 버번종을 퍼트리기 시작했다. 케냐와 탄자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선교시설을 건설하고,...

티피카,typica

Last Updated: 2025년 02월 14일

1. 개요 티피카와 버번은 대부분 아라비카 커피의 시작이다. 역사적으로도, 생물학적으로도 가장 중요한 품종이다. 전설이나 신화를 제외하고 역사에 기록된 사실로만 이야기하자면, 그 시작은 에티오피아다. 에티오피아에서 시작된 커피는 예맨으로 건너가게 된다. 그리고, 예맨에서 최초로 커피를 작물로서 재배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일부가 인도, 인도네시아를 거쳐 세계 곳곳으로 옮겨지면서 수많은 커피 품종을 만들어냈다. 티피카와 버번이 중요할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쇼핑 카트
위로 스크롤